------------------------------------------------------------------------------------------------------------------------------------------------------------------------------------------------------------------------------------------------------------------------------------------------------------------------------------------

고등학교 2학년 학생인데 지동차 정비사가 되고싶습니다 일반고 2학년 재학 중인데정비 학원을 다니고 성인이 되어서 자격증을 딴

고등학교 2학년 학생인데 지동차 정비사가 되고싶습니다

cont
일반고 2학년 재학 중인데정비 학원을 다니고 성인이 되어서 자격증을 딴 후에 취업 하는 건가요? 아니면 대학을 그쪽 분야 전문대를 나와서 자격증 따고 취업 하는 건가요 위탁을 가기에는 시기가 끝났고 공부도 안하고 매일 놀기만 하니 미래 생각을 좀 해야 할 것 같아서 그나마 좋아하는 자동차랑 관련 지어서 생각해낸건데 아는 게 없으니 길이 안보입니다ㅠㅠ 도와주세요

배관기능사, 가스기능사, 에너지관리기능사, 공조냉동기계산업기사, 2급소방안전관리, 위험물안전관리

인천기계공업고등학교 배관과 졸업 48회

수원과학대학교 건축설비과 졸업 23회 92학번

경기인력개발원 전산응용건축설계과 수료 1회 97학번

배준호 bom5521@naver.com

본론

사무직+기술직+영업직+공장직+미화직+알바직=18년 해봄

채택이요 기부가 됨 좋은일 하심

답변: 아래 설명을 참고 하세요

자동차 정비사가 되는 길은 크게 두 가지입니다: 학원·직업훈련을 통해 바로 자격증을 취득해 취업하거나, 전문대·대학교에서 관련 학과를 전공한 뒤 자격증을 따고 취업하는 방법입니다. 어느 쪽이든 핵심은 자동차정비기능사 → 산업기사 → 기사 순으로 자격증을 단계적으로 취득하며 경력을 쌓는 것입니다.

자동차 정비사 자격증 단계

  • 자동차정비기능사 (초급)

  • 응시 자격: 제한 없음 (누구나 가능)

  • 시험 과목: 엔진, 섀시, 전기·전자장치 정비, 안전관리 등

  • 가장 먼저 도전할 수 있는 자격증

  • 자동차정비산업기사 (중급)

  • 응시 자격: 관련 학과 2년제 이상 졸업, 기능사 취득 후 1년 경력, 또는 실무 경력 2년 이상

  • 자동차정비기사 (고급)

  • 응시 자격: 4년제 관련 학과 졸업, 산업기사 취득 후 1년 경력, 또는 실무 경력 4년 이상

진로 선택지

  • 직업훈련·학원 경로

  • 고등학교 졸업 후 자동차 정비 학원이나 직업전문학교에서 교육을 받고 기능사 자격증 취득

  • 빠르게 취업 가능, 실무 경험을 빨리 쌓을 수 있음

  • 단점: 학위가 없어 경력 발전 시 한계가 있을 수 있음

  • 전문대·대학교 경로

  • 자동차학과, 기계자동차과 등 관련 학과 진학

  • 졸업 후 산업기사·기사 자격증 응시 가능

  • 장점: 학위와 자격증을 동시에 확보, 대기업·공기업 취업 시 유리

  • 단점: 학업 기간이 길고 비용이 더 듦

현실적인 조언

  • 지금은 자동차정비기능사 자격증을 목표로 삼는 것이 가장 빠른 길입니다.

  • 학원이나 직업학교에서 실습 위주로 배우면 바로 시험 응시가 가능하고, 취업도 빠릅니다.

  • 이후 경력을 쌓으면서 전문대 진학이나 산업기사·기사 자격증 취득을 고려하면 됩니다.

  • 자동차 정비사는 실무 경험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학원 → 취업 → 경력 → 추가 자격증 순으로 가는 것도 충분히 좋은 선택입니다.

지금 단계에서는 “내가 바로 취업할지, 대학을 갈지”를 고민하기보다 기능사 자격증 취득을 목표로 준비하는 것이 가장 현실적입니다.





참아야지! 참아라! 그러면 잘 되어 갈 걸세. 친구여, 정말 자네 말이 맞네. 세상 사람들 틈에 끼여 날마다 일에 쫓기며, 다른 사람들이 하는 일과 그들의 행동을 보기 시작한 이후로 나는 나 지신과 휠씬 더 잘 타협할 수 있게 되었네.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 괴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