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낸스 알트코인 선물거래 질문입니다.. 선물거래 할때 비트코인 말고 다른 알트 코인 선물거래 할때예를 들어 위 사진과 같이 이더리움 선물거래 할때 이더리움으로 거래을 해야 하는지 아니면 USDT로 변경해서 해야 하나요?이더리움 말고도 다른 알트코인 선물거래시 알트코인에 맞추어서 거래을 해야 하는건가요?
답변드리겠습니다.
바이낸스 선물거래에서는 무슨 마진(증거금)으로 거래하느냐에 따라 달라집니다.
1. 바이낸스 선물의 두 가지 방식
1) USDT-M 선물 (가장 많이 쓰는 방식)
증거금과 손익 정산 단위가 USDT입니다.
예: ETHUSDT, XRPUSDT, BTCUSDT …
이 경우 포지션 사이즈는 ETH 단위로 보여줄 수도 있고, USDT 단위로 보여줄 수도 있지만, 실제로는 USDT를 담보로 거래합니다.
2) COIN-M 선물 (코인 기반 선물)
해당 코인 자체(ETH, BTC 등) 를 담보로 걸고, 손익도 코인으로 정산됩니다.
예: ETHUSD (COIN-M), BTCUSD (COIN-M)
이 경우는 진짜로 ETH를 보유하고 있어야 거래 가능합니다.
2. 질문 주신 화면 (ETHUSDT Perpetual)
지금 캡처하신 화면은 USDT-M 선물입니다.
따라서 실제 증거금은 USDT이고, 손익도 USDT로 계산됩니다.
“Unit Preference”는 단순히 포지션 크기를 ETH로 표시할지, USDT로 표시할지를 선택하는 UI 설정일 뿐입니다.
ETH 선택: "0.5 ETH, 1 ETH" 식으로 수량 입력
USDT 선택: "1000 USDT, 2000 USDT" 식으로 금액 기준 입력
3. 알트코인 선물도 동일
ETH 뿐 아니라 리플(XRP), 솔라나(SOL) 등 다른 알트코인 선물도 USDT-M 거래라면 USDT를 담보로 거래합니다.
즉, 따로 알트코인을 들고 있을 필요는 없습니다.
다만, COIN-M 상품을 선택하면 그 코인을 담보로 해야 합니다. (예: XRPUSD COIN-M → XRP를 담보로)
4. 결론
질문 주신 ETHUSDT 선물은 USDT를 증거금으로 쓰는 USDT-M 선물입니다.
ETH 자체를 들고 있을 필요는 없고, USDT만 있으면 됩니다.
화면의 ETH/USDT 선택은 단순히 거래 단위를 어떻게 표시할지(보기 편의) 의 차이일 뿐입니다.
참아야지! 참아라! 그러면 잘 되어 갈 걸세. 친구여, 정말 자네 말이 맞네. 세상 사람들 틈에 끼여 날마다 일에 쫓기며, 다른 사람들이 하는 일과 그들의 행동을 보기 시작한 이후로 나는 나 지신과 휠씬 더 잘 타협할 수 있게 되었네.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 괴테